-
(1) ^ (caret)
문자열의 처음
(2) $ (dollar)
문자열의 끝
(3) . (period)
임의의 한 문자를 표시 (문자의 종류와 관계없음)
(4) [] (bracket)
문자의 집합이나 범위를 나타냄, 두 문자 사이의 범위는 “-” 사용.
[]내에서 “^”이 선행되면 not을 나타냄
(5) {} (brace)
{} 내의 숫자는 직전의 선행문자가 나타나는 횟수,범위를 나타냄
(6) * (asterisk)
“*” 직전의 선행문자가 없거나 여러번 나타나는 문자열
(7) + (Plus Sign)
“+” 직전의 선행문자가 최소 1번 이상 나타나는 문자열
(8) ? (question mark)
“?” 직전의 선행문자가 0번 또는 1번 나타나는 문자열
(9) () (parenthesis)
()는 정규식내에서 패턴을 그룹화 할 때 사용
(10) | (bar)
or(또는)
(11) \ (backslash)
위에서 사용된 특수 문자들을 정규식내에서 문자로 취급하고 싶을 때 사용
- \w : 알파벳이나 숫자
- \W : \w의 not. 즉 알파벳이나 숫자를 제외한 문자
- \d : 숫자 ([0-9]와 동일)
- \D : 숫자를 제외한 모든 문자
자주 사용하는 정규표현식
1) 숫자만 : ^[0-9]*$
2) 영문자만 : ^[a-zA-Z]*$
3) 한글만 : ^[가-힣]*$
4) 영어 & 숫자만 : ^[a-zA-Z0-9]*$
5) E-Mail : ^[a-zA-Z0-9]+@[a-zA-Z0-9]+$
6) 휴대폰 : ^01(?:0|1|[6-9]) - (?:\d{3}|\d{4}) - \d{4}$
7) 일반전화 : ^\d{2.3} - \d{3,4} - \d{4}$
8) 주민등록번호 : \d{6} \- [1-4]\d{6}
9) IP 주소 : ([0-9]{1,3}) \. ([0-9]{1,3}) \. ([0-9]{1,3}) \. ([0-9]{1,3})반응형'여러가지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매크로] selenium 크롬드라이버 오류 해결 방법 (1) 2024.01.16 JWT는 무엇인가? (세션 방식과 차이, 구조, 작동 방식) (0) 2022.04.26 [클린코드] 주석 리팩토링 (0) 2021.08.31 [Android] Activity, Fragment 생명주기 (0) 2020.11.05